1. 포트 번호
<위키백과>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에서 포트(port)는 운영 체제 통신의 종단점이다. 이 용어는 하드웨어 장치에도 사용되지만, 소프트웨어에서는 네트워크 서비스나 특정 프로세스를 식별하는 논리 단위이다. 주로 포트를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전송 계층 프로토콜이라 하며, 예를 들어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와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가 있다. 각 포트는 번호로 구별되며 이 번호를 포트 번호라고 한다. 포트 번호는 IP 주소와 함께 쓰여 해당하는 프로토콜에 의해 사용된다.
IP 주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IP 주소(영어: Internet Protocol address, IP address, 표준어: 인터넷규약주소)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장치들이 서로를 인식하고 통신을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특수한
ko.wikipedia.org
간단히 설명하자면 A컴퓨와 B컴퓨터가 카카오톡을 실행 하여 채팅을 하고 있다 가정하자.
A가 '나 A야!' 라는 데이터르 B에게 보낸다고 할때,
A----------------------->B
'나 A야!'
하지만 B컴퓨터에는 카카오톡뿐만 아니라 네이버도 켜있고 롤도 하고 있다면,
A----------------------->B 카카오톡, 네이버, 롤
'나 A야!'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이 여러개인데 나는 어디로 가야되지??'
이때 어디로 가야되는지를 알려주는게 포트번호 이다.
잘 알려진 포트번호는 다음과 같다.
<TCP> < UDP>
http 80 domain/dns 53
https 443 bootps 67 (DHCP Server)
telnet 23 bootpc 68 (DHCP Client)
ssh 22 tftp 69
ftp 21 snmp 161
ftp-data 20 ntp 123
smtp 25
pop3 110
2. IP 주소
Internet Protocol 의 약자로 간단히 하면 내 컴퓨터 주소이다.
우리가 편지를 보내면 우체부가 우리집 주소를 보고 찾아오듯, 다른 컴퓨터에서 나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면 이 IP주소를 보고 찾아 온다.
32bit로 이루어져 있고, 8비트를 1옥텟으로 나누어, 4옥텟으로 이루어져 있다.
표현방법으로는 0 ~ 255까지 숫자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128.96.32.2
128 |
96 |
32 |
2 |
1000 0000 |
0110 0000 |
0010 0000 |
0000 0011 |
1111 1111 |
1111 1111 |
0000 0000 |
0000 0000 |
3. MAC 주소
맥주소는 피지컬 어드레스라고도 불리우는데 왜냐하면 IP주소는 상황에 따라 내 컴퓨터의 주소가 변할수도 있지만 이 맥주소는 절대 변하지
않는 주소이다.
랜카드에 적혀 있으며 스위치로 구성된 로컬 네트워크에서는 이 맥주소를 이용해 유니캐스트로 통신을 한다.
0-e0-4c-14-62-ba ---> 실제 맥주소
0-e0-4c ---> 앞에 세자리는 랜카드 제조사를 뜻한다
14-62-ba ---> 뒤에 세자리는 내 랜카드의 주소를 뜻한다.
이게 무슨뜻이냐면 이 맥주소는 항상 고유 해야 하기때문에 랜카드를 제조하는 회사는 이를 관리하는 IEEE로 부터 앞의 세자리를
할당 받아야 하고 뒤에 세자리는 자신의 회사가 임의로 사용 할수 있다.
할당 받은 맥주소 : aa.aa.aa.xx.xx.xx
a 할당 받은 주소
x 자신이 변경해서 사용할수 있는 주소
'ccna > cisoco cc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VTP (0) | 2021.01.17 |
---|---|
vlan (0) | 2021.01.05 |
IP 주소 특징 (0) | 2021.01.03 |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0) | 2021.01.01 |
네트워크와 데이터전송 관계 (0) | 2021.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