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na/cisoco ccna'에 해당되는 글 11건

이더채널이란 스위치의 여러개의 물리적인 포트를 하나의 논리적인 포트로 만들어서 사용하는 것을 말하는데, 왜 하냐? 이것은 대역폭을 증가 시켜 빠르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또한 여러개의 포트가 물려있기 때문에 어떤 포트에 장애가 발생해도 문제없이 다른 포트들로 통신이 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fa0/1, fa0/2, fa0/3, fa0/4 번을 이더채널로 묶었다 하면 패스트 이더넷이니까 한개의 포트당 100메가 속도이고 즉 네개이 포트니까 400메가의 속도로 통신을 할 수 있다 이런 뜻이다. 또한 fa0/1에 장애가 발생 했다 하더라도 fa0/2, fa0/3, fa0/4을 통해 통신이 가능!!

 

이더채널은 액세스 포트와 트렁크 포트에서 만들수 있는데, 구현 조건이 다르다.

액세스 포트로 구성: speed, duplex-mode, vlan ID 가 동일 해야 함

트렁크 포트로 구성: 트렁크 프로토콜, native vlan, 트렁크 사용 가능한 vlan ID가 동일 해야 함

 

프로토콜 종류에는 두가지가 있다.

PAGP 와 LACP

PAGP는 시스코에서 만든 프로토콜이고 LACP는 IEEE에서 정의한 표준프로토콜 이다.

 

PAGP 의 동작모드

desirable 동적 협이 모드

auto 대기 모드 --> 옆에 스위치에서 이더채널을 하자 라는 메세지가 들어오면 동작하는 모드, 양쪽다 대기 모드로 되어있으면 안된다.

양쪽 스위치중 하나는 동적협의모드로 되어 있어야 한다. 하지만 보통 양쪽다 동적 협의 모드로 셋팅 한다.

 

예제는 

명령어 SW1, SW2는 pagp로 SW2, SW3는 lacp로 해보겠다.

pagp SW1, SW2

SW1, SW2(config)# int port-channel 1 #채널 넘버는 1-6 (2960스위치 경우는 6까지, 3650 스위치는 48까지, 스위치 마다 다른듯)

SW1, SW2(config)# int range fa0/23 - 24 #두개 묶었으니 200메가

SW1, SW2(config-if-range)# channel-port protocol pagp

SW1, SW2(config-if-range)# channel-group 1 mode desirable

실제 환경에서는 각포트를 트렁크 모드로 미리 설정해논다느 가정하에 이렇게 할 수 있다.

int range fa0/23 - 24

 channel-group 1  mode desirable

 

lacp SW2, SW3

SW2, SW3(config)# int port-channel 2

SW2, SW3(config)# int range fa0/21 - 22

SW1, SW2(config-if-range)# channel-port protocol lacp

SW1, SW2(config-if-range)# channel-group 1 mode active

int range fa0/21 - 22

 channel-group 2  mode active

 

정보 확인

SW2# sh etherchannel summary

Flags: D - down P - in port-channel

I - stand-alone     s - suspended

H - Hot-standby (LACP only)

R - Layer3      S - Layer2

U - in use f - failed to allocate aggregator

u - unsuitable for bundling

w - waiting to be aggregated

d - default port

 

Number of channel-groups in use: 2

Number of aggregators: 2

 

Group                       Port-channel                    Protocol                             Ports

------+-------------+-----------+----------------------------------------------

 

1                 Po1(SU)#S - Layer2 U - in use        PAgP                Fa0/23(P) Fa0/24(P)P - in port-channel

2                 Po2(SU)#S - Layer2 U - in use       LACP                Fa0/21(P) Fa0/22(P)P - in port-channel

 Fa0/23(I) Fa0/24(I) 인 경우, 상대방 스위치가 준비가 되지 않았다

 Fa0/23(s) Fa0/24(s) 인 경우, 이더채널을 설정하기전에 트렁크 또는 엑세스 모드가 설정이 안되있다는 말

 

 

'ccna > cisoco cc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CDP(Cisco Discovery Protocol)  (0) 2021.01.19
HSRP  (0) 2021.01.17
Inter-vlan and SVI  (0) 2021.01.17
spanning tree  (0) 2021.01.17
VTP  (0) 2021.01.17
블로그 이미지

JustDoIt_Sun

,

CDP = 시스코 디스커버리 프로토콜

이름에서 알수 있든이 시스코가 만든 디스커버리 프로토콜이다.

시스코 장비끼리 디스커버리 찾는 또는 확인 하는 프로토콜이다.

시스코 장비가 아닌 장비를 활성화 하면 기본적을 비활성화 되어 있다.

 

사용법은 간단하다

전역설정모드에 들어가서 cdp run

sw(config)#cdp run #활성화

sw(config)#no cdp run #비활성화

 

확인 명령어

sh cdp neighbor

Switch#sh cdp neighbors

Capability Codes: R - Router, T - Trans Bridge, B - Source Route Bridge

S - Switch, H - Host, I - IGMP, r - Repeater, P - Phone

Device ID호스트이름     Local Intrfce내 인터페이스       Holdtme      Capability장비종류       Platform모델명      Port ID상대포트

Switch                                         Fas 0/1                         12                       S                             2960                      Fas 0/1

Switch                                         Fas 0/1                         174                     S                             2960                      Fas 0/3

Switch#

 상대방 호스트 이름은 Switch이고 내 인터페이스 fa0/1에 설정 되있고 장비종류는 스위치이고 모델명은 2960이고 상대는 fa0/3에 연결 되있다

 

sh cdp neighbor detail

Switch#sh cdp neighbors detail

 

Device ID: Switch #장비이름

Entry address(es): #레이어 3계층 ip주소

Platform: cisco 2960,#장비 모델명                Capabilities: Switch #장비 종류

Interface: FastEthernet0/1,#내 인터페이스  Port ID (outgoing port): FastEthernet0/3#상대포트

Holdtime: 176

 

Version :

Cisco IOS Software, C2960 Software (C2960-LANBASE-M), Version 12.2(25)FX, RELEASE SOFTWARE (fc1)

Copyright (c) 1986-2005 by Cisco Systems, Inc.

Compiled Wed 12-Oct-05 22:05 by pt_team

 

advertisement version: 2

Duplex: full

 

sh cdp entry

sh cdp traffic

sh cdp interface

 

'ccna > cisoco cc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더채널 Ethercheannel  (0) 2021.01.20
HSRP  (0) 2021.01.17
Inter-vlan and SVI  (0) 2021.01.17
spanning tree  (0) 2021.01.17
VTP  (0) 2021.01.17
블로그 이미지

JustDoIt_Sun

,

HSRP

ccna/cisoco ccna 2021. 1. 17. 15:01

HSRP

  • CISCO 전용 

  • 네트워크간 2개 이상의 게이트웨이를 사용할 때 한개의 경로에 문제가 생기면 다른 경로에서 게이트웨이 역할을 해 줄 수 있도록 장비-장비 간 버츄얼 게이트웨이를 설정 

  • 하나의 Active와 하나의 Standby를 결정 (1. 우선순위값 기본 100, 2. IP주소)

  • Active : 실제 사용자 데이터를 전달해주는 장비, 가상IP주소에 대한 ARP

  • Standby : Active에 대한 백업

Inter-vlan 구성 및 HSRP 설정

!

interface FastEthernet0/0 #no shutdown 인터페이스 활성화

no ip address

duplex auto

speed auto

!

interface FastEthernet0/0.10 #보통 vlan번호로 할당

encapsulation dot1Q 10 #vlan10에 dot1Q로 encapsulation

ip address 192.168.0.1 255.255.255.224 # IP할당

standby 1 ip 192.168.0.30 #가상 라우터 IP할당

standby 1 priority 120 #우선순위값 변경(기본값 100) → 라우터 우선순위 설정

standby 1 preempt #인터페이스가 다운 됐다 복구 되었을 경우 가상 라우터 회수

!

interface FastEthernet0/0.20 #vlan 20에 inter-vlan 및 HSRP 설정

encapsulation dot1Q 20

ip address 192.168.0.33 255.255.255.224

standby 1 ip 192.168.0.62

standby 1 priority 120

standby 1 preempt

!

 

'ccna > cisoco cc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더채널 Ethercheannel  (0) 2021.01.20
CDP(Cisco Discovery Protocol)  (0) 2021.01.19
Inter-vlan and SVI  (0) 2021.01.17
spanning tree  (0) 2021.01.17
VTP  (0) 2021.01.17
블로그 이미지

JustDoIt_Sun

,

Distribution layer가 라우터인 경우

vlan간에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게이트 웨이 역할을 하는 서브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

@Inter-vlan 설정

-각 vlan간의 통신을 위해 설정

-라우터에 vlan별 서브인터페이스를 할당 

 

@서브인터페이스

-하나의 물리적인 인터페이스를 여러개의 논리적인 인터페이스로 분할

-분할된 서브인터페이스를 vlan별로 연결하여 IP주소 할당

vlan 10 네트워트

!

interface FastEthernet0/0 #no shutdown 인터페이스 활성화

no ip address

duplex auto

speed auto

!

interface FastEthernet0/0.10 #보통 vlan번호로 할당

encapsulation dot1Q 10 #vlan10에 dot1Q로 encapsulation

ip address 192.168.0.1 255.255.255.224 # IP할당 게이트에이 주소

vlan 20 네트워크도 동일 하게 수행

인터브리랜을 통과 하는지 확인 tracert vlan 10 --> vlan20

C:\>tracert 192.168.0.34

 

Tracing route to 192.168.0.34 over a maximum of 30 hops:

 

1 39 ms 0 ms 0 ms 192.168.0.1#inter-vlan 10 통과 후

2 * 0 ms 0 ms 192.168.0.34 #inter- vlan 20 통과

 

Trace complete.

 

C:\>

 

SVI (Switched Virtual Interface)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인터페이스
L2스위치의 Interface vlan: ping, 원격접속등 관리목적을 위한 인터페이스
L3스위치의 Interface vlan: ping, 원격접속등 관리목적을 위한 인터페이스
 vlan간 라우팅을 위한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
SVI(Switched Virtual Interface)를 이용한 라우팅(L3스위치)
 => interface vlan VLAN번호 (SVI) : 라우팅의 목적, 스위치 관리
SVI 생성
(config)#interface vlan VLAN번호
(config-if)#ip address IP주소 서브넷마스크 => 해당 VLAN의 G/W
L2스위치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Trunk 설정 => Trunk설정참고
L3스위치 라우팅 활성화
(config)#ip routing

BO2_L3_1#sh run

Building configuration...

!

interface Vlan 10 # SVI 생성 

mac-address 00d0.bc40.7a01

ip address 192.168.2.1 255.255.255.240 # IP할당

standby 1 ip 192.168.2.14

standby 1 priority 120

standby 1 preempt

!

interface Vlan20 # SVI 생성 

mac-address 00d0.bc40.7a02

ip address 192.168.2.17 255.255.255.240 # IP할당

standby 1 ip 192.168.2.30

standby 1 priority 120

standby 1 preempt

!

단계별로 설명 하자면

vlan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SW(config)#int vlan 10

게이트웨이를 수행할 ip를 할당 하고

SW(config-if)#ip add 192.168.2.1 255.255.255.240

해당 인터페이스를 셧다운 해제

SW(config)# int fa 0/1

SW(config-if)# no sh

 

'ccna > cisoco cc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CDP(Cisco Discovery Protocol)  (0) 2021.01.19
HSRP  (0) 2021.01.17
spanning tree  (0) 2021.01.17
VTP  (0) 2021.01.17
vlan  (0) 2021.01.05
블로그 이미지

JustDoIt_Sun

,

spanning tree

ccna/cisoco ccna 2021. 1. 17. 14:33

이중화

  • - LAN 네트워크 설계시 장애 발생가 발생할 경우, 다른 링크를 이용하여 패켓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권장한다.

  •  - 대신, 이중화 링크를 구현하면 브리징 루프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  - 브리징 루프 : 브로드케스트 스톰, MAC 플랩핑, 유니케스트 중복 복제

  •  - 브리징 루프 발생 원인 : 이중화 링크, 스위치 플러딩 동작

  •  - 브리징 루프 방지 대책 : 스위치 특정 포트를 논리적으로 차단(Blocking)시킴

  •  - Blocking 포트 : 프레임 송수신이 불가능한 포트를 의미한다.

 

① Blocking 포트는 평상시에 프레임 송수신이 차단된다. 

② 그러나 사용중인 링크가 장애가 발생하면, Blocking 포트는 Forwarding 상태로 전환하여      프레임 송수신이 가능해진다.

③ 또한, 링크 장애가 복구되면, 다시 Blocking 상태로 전환된다.

 

  • ①, ②, ③ 동작을 담당하는 프로토콜 : STP

  • STP는 스위치 이중화 연결시 자동으로 동작한다.

  • CISCO 장비에서 PVST가 디폴트로 동작한다.

블럭포트 선정 방법

1.루트 브리지 선정(BID 비교) → 2. BPDU 송신 → 3.수신 포트 코스트 누적값 기록 → 4.스위치의 포트중 코스트값이 젤 낮은 포트가 RP 포트 선정 → 5.루트스위치의 모든포트는 DP포트 → 6.각 링크당 한개의 DP포트 필수 → 7.RP 또는 DP 가 선정 되지 않은 링크 경우 스위치의 제일 낮은 코스트 값을 비교하여 DP선정 → 8.남은 포트는 블락포트 선정

 

1.루트 브리지 선정(BID 비교) 
2. BPDU 송신 

 

3.수신 포트 코스트 누적값 기록 

 

4.스위치의 포트중 코스트값이 젤 낮은 포트가 RP 포트 선정
.5.루트스위치의 모든포트는 DP포트

 

6.각 링크당 한개의 DP포트 필수
7.RP 또는 DP 가 선정 되지 않은 링크 경우 스위치의 제일 낮은 코스트 값을 비교하여 DP선정
8.남은 포트는 블락포트 선정

 

'ccna > cisoco cc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HSRP  (0) 2021.01.17
Inter-vlan and SVI  (0) 2021.01.17
VTP  (0) 2021.01.17
vlan  (0) 2021.01.05
IP 주소 특징  (0) 2021.01.03
블로그 이미지

JustDoIt_Sun

,

VTP

ccna/cisoco ccna 2021. 1. 17. 14:16

 @ VTP (Vlan Trunking Protocol)

Vlan을 관리하여 Vlan 설정 일관성을 유지

-VTP 도메인안의 모든 스위치로 vlan 정보를 담은 VTP메세지 전파

-2계층 메세지 프로토콜로 트렁크 링크를 통해 VTP 메세지 전파

@서버모드

-Vlan 생성, 이름변경, 삭제등 Vlan 설정변경 가능

-Vlan 설정을 변경할때 변경정보를 VTP 도메인 안의 모든 스위치에 전파

@클라이언트 모드

-Vlan 설정 변경(생성, 이름변경, 삭제) 할수 없음

-VTP 클라이언트가 가진 vlan 정보를 다른 vtp 스위치에 전파

@투명모드 (Transparent Mode)

-vlan 변경사항은 로컬스위치에만 적용, VTP 스위치로 전파되지 않음

-도메인 안에서 수신한 VTP 메세지 전달만 함

@VTP 메세지 전달

-vlan 설정이 변경되는 경우 설정 리비전 번호 1씩 증가

-VTP 메세지 설정 리비전 번호를 확인해 최신 메세지를 확인

Deagu_SW3(config)# vtp domain cisco

Deagu_SW3(config)# vtp mode server

Deagu_SW3#sh vtp status

VTP Version                     : 2 #VTP 버전

Configuration Revision          : 2 #설정 리비전 번호(변경시 1씩증가)

Maximum VLANs supported locally : 255

Number of existing VLANs        : 7

VTP Operating Mode              : Server #현재 VTP 모드

VTP Domain Name                 : cisco #도메인 네임 

VTP Pruning Mode                : Disabled

VTP V2 Mode                     : Disabled

VTP Traps Generation            : Disabled

MD5 digest                      : 0x14 0x7E 0x37 0xF1 0x88 0xD4 0xF4 0xB5

Configuration last modified by 0.0.0.0 at 3-1-93 00:04:46

Local updater ID is 0.0.0.0 (no valid interface found)

 

'ccna > cisoco cc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er-vlan and SVI  (0) 2021.01.17
spanning tree  (0) 2021.01.17
vlan  (0) 2021.01.05
IP 주소 특징  (0) 2021.01.03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0) 2021.01.01
블로그 이미지

JustDoIt_Sun

,

vlan

ccna/cisoco ccna 2021. 1. 5. 10:28

@ vlan 이란?

- 하나의 네트워크로 논리적인 네트워크로 분할

- 특정 vlan에서 전달된 트래픽은 해당 vlan에 속한 포트로만 전달

- 하나의 vlan = 하나의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 하나의 논리적인 네트워크

 

예를 들어, 하나의 도메인에 30대의 컴퓨터가 속해 있다 할때,

A피씨가 데이터를 전달하는데 상대방 피씨 맥주소를 몰라서 브로드캐스트 보내면 도메인내에 있는 

스위치가 네트워크안에 있는 모든 피씨에게 플러딩을 하게 된다. 만약 vlan으로 1~15번 피씨는 vlan 1 과

16~30 피씨는 vlan 2으로 나누었다하면, 플러딩은 해당 도메인 즉 vlan 1번 안에서만 이루어 지게 된다.

 

@vlan 범위

- vlan의 범위는 스위치마다 다름

- vlan 1은 기본 vlan으로 삭제 불가능

- vlan 2 ~ 1001 추가, 변경 삭제 가능

- vlan 1002 ~ 1005 토큰링과 FDDI용

@ vlan 장점

- 브로드캐스트 프레임 전달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네트워크 트래픽 감소, 웜이나 바이러스의 전파 범위를 제한

@ Access 모드

- 단일 vlan 트래릭을 전달

- host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설정

access mode

fa 0/1은 vlan 10만 통과

fa 0/2은 vlan 20만 통과

 

@Trunk 모드

- 다중 vlan 트래픽 전달

- 스위치나 라우터 사이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설정

- Trunking Protocol 이용해 vlan 트래픽을 식별

@Trunking Protocol

- IEEE 802.1q(표준)

- 트렁크 인터페이스에서 브이랜 트래픽을 식별

- 2계층 헤더에 tag 필드를 삽입

쉽게 말해서 vlan 10 트랙픽에 ' 이거는 10번 트랙이야' 라는 스티커를 부착 한다는 말.

 

@Native vlan

- Trunk 인터페이스에서 태그를 삽입하지 않는 vlan - 디폴트 값 vlan 1번 

- 하나의 Trunk 인터페이스 하나의 Native vlan이 지정 - 디폴트 값 vlan 1번을 다른 vlan으로 변경 가능

- Native vlan이 서로 다른 경우 루프의 원인 

'ccna > cisoco cc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anning tree  (0) 2021.01.17
VTP  (0) 2021.01.17
IP 주소 특징  (0) 2021.01.03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0) 2021.01.01
데이터 전송 주소 체계  (0) 2021.01.01
블로그 이미지

JustDoIt_Sun

,

1. IP 주소

- IP는 아이피르 관리하는 기관으로 부터 임대 받아서 사용해야 한다.

- 우리나라는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IP를 관리하고 있다.

- 특징: 32비트로 구성, 2^32개(4,294,967,296개) 약42억개, 십진수로 표기

 

2. 서브넷 마스크

- 서브넷 마스크는 IP고갈을 막기 위해 도입 되었다. 

- 공통비트: 1비트 -> 네트워크 아이디 -> 네트워크를 구분하기위한 번호

- 비공통비트: 0비트 -> 호스트 아이디 -> IP주소 개수 및 범위를 표기하기위한 번호

 

예를 들어 10.10.10.10 이란 IP 그리고 255.0.0.0 이란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할때

네트워크 아이디는 10.0.0.0 이고 호스트 아이피 갯수는 10.x.x.x 여기서 x에 해당되는 부분을 말한다. 호스트 갯수는 x에 해당되는 부분 

2^24개가 되겠다.

 

3. IP클래스 

1.  IP 주소 범위: 0.0.0.0 ~ 255.255.255.255 약 42억개

2.  네트워크와 호스트부분을 구분하고 효율적으로 IP를 관리하기위해서 만들었다.

3 .  A, B, C, D, E 클래스의 범위

  • A Class : 0 ~ 127 (0.0.0.0 ~ 127.255.255.255)
  • B Class : 128 ~ 191 (128.0.0.0 ~ 191.255.255.255)
  • C Class : 192 ~ 223 (192.0.0.0 ~ 223.255.255.255)
  • D Class : 224 ~ 239 (224.0.0.0 ~ 239.255.255.255)
  • E Class : 240 ~ 255 (240.0.0.0. ~ 255.255.255.255

4.  클래스는 유니캐스트주소, 멀티캐스트 주소, IANA 예약용 주소로 나눌수 있다.

@ 유니케스트 주소
 
 - 유니케스트 전송때 사용하는 주소이며, 장치에 설정하는 주소이다.

A Class(0~127) : 맨 앞에 비트가 '0'인 공통 비트 클래스

0.0.0.0    ~    127.255.255.255 기본 서브넷 마스크 : 255.0.0.0
0 0000000.     0 1111111. 네트워크 아이디당 IP 주소 개수 : 2^24개
                                                                                (16,777,216개)
B Class(128~191) : 맨 앞에 비트가 '10'인 공통 비트 클래스

128.0.0.0    ~    191.255.255.255 기본 서브넷 마스크 : 255.255.0.0
10 000000.       10 111111. 네트워크 아이디당 IP 주소 개수 : 2^16개
                                                                                     (65,536개)
C Class(192~223) : 맨 앞에 비트가 '110'인 공통 비트 클래스

192.0.0.0    ~    223.255.255.255 기본 서브넷 마스크 : 255.255.255.0
110 00000.       110 11111. 네트워크 아이디당 IP 주소 개수 : 2^8개
                                                                                              (256개)
----------------------------------------------------------------------------------
2^7 2^6 2^5 2^4 2^3 2^2 2^1 2^0
128 64   32   16    8     4     2     1
----------------------------------------------------------------------------------

 

@ 멀티케스트 주소

 - 멀티케스트 전송때 사용하는 주소이며, 장치에 설정이 안되는 주소이다.
 - 서버가 패켓을 멀티케스트로 전송할 경우, 목적지 IP 주소로 설정된다.

D Class(224~239) : 맨 앞에 비트가 '1110'인 공통 비트 클래스

224.0.0.0    ~   239.255.255.255 서브넷 마스크 개념 X
1110 0000       1110 1111.

 

@ 3. IANA 예비용 예약 주소

 - 예비용으로 예약되었기 때문에 사용 및 설정이 안된다.

E Class(239~255)

240.0.0.0    ~    255.255.255.255

 

5. 네트워크 이름 & 서브넷브로캐스트 주소 

1) 네트워크 이름: 

- IP 주소가 할당된 네트워크를 대표하는 IP주소

-  할당된 아이피 주소의 첫번째 주소가 네트워크 아이디 주소

2) 서브넷 브로드캐스트 주소:

- 해당 네트워크에서 브로드케스트를 실행할때 사용되는 주소.

- 호스트 아이피의 마지막 주소가 브로드캐스트 주소이다.

 

 

                               IP                                               서브넷마스크

                             192.168.1.10                                      255.2555.255.0                 이라 할때,

네트워크 이름        192.168.10.0           브로드캐스트주소 192.168.1.255

 

 

6. 서브넷마스크 Prefix 설정 가능한 IP 주소 개수

 

7. 공인 IP 주소 & 사설 IP 주소

 1) 공인 IP 주소 (Public IP 주소)

 - ISP 업체에서 할당한 인터넷이 가능한 주소
 - 공인 IP 네트워크 정보는 ISP 업체 라우터 장비에 등록 O

 2) 사설 IP 주소 (Private IP 주소)

 - ISP 업체 임대와 관계 없이 내부용으로 사용하는 주소
 - 사설 IP 네트워크 정보는 ISP 업체 라우터 장비에 등록 X

A Class 10.0.0.0 ~ 10.255.255.255
B Class 172.16.0.0 ~ 172.31.255.255
C Class 192.168.0.0 ~ 192.168.255.255

 

@ IP 주소 사용 주의 사항

 1. 중복 X
 2. 미할당 IP 주소는 다른 네트워크에 할당하면 안된다. (이유 : 네트워크 이름 중복)

'ccna > cisoco cc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VTP  (0) 2021.01.17
vlan  (0) 2021.01.05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0) 2021.01.01
데이터 전송 주소 체계  (0) 2021.01.01
네트워크와 데이터전송 관계  (0) 2021.01.01
블로그 이미지

JustDoIt_Su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