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채널이란 스위치의 여러개의 물리적인 포트를 하나의 논리적인 포트로 만들어서 사용하는 것을 말하는데, 왜 하냐? 이것은 대역폭을 증가 시켜 빠르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또한 여러개의 포트가 물려있기 때문에 어떤 포트에 장애가 발생해도 문제없이 다른 포트들로 통신이 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fa0/1, fa0/2, fa0/3, fa0/4 번을 이더채널로 묶었다 하면 패스트 이더넷이니까 한개의 포트당 100메가 속도이고 즉 네개이 포트니까 400메가의 속도로 통신을 할 수 있다 이런 뜻이다. 또한 fa0/1에 장애가 발생 했다 하더라도 fa0/2, fa0/3, fa0/4을 통해 통신이 가능!!

 

이더채널은 액세스 포트와 트렁크 포트에서 만들수 있는데, 구현 조건이 다르다.

액세스 포트로 구성: speed, duplex-mode, vlan ID 가 동일 해야 함

트렁크 포트로 구성: 트렁크 프로토콜, native vlan, 트렁크 사용 가능한 vlan ID가 동일 해야 함

 

프로토콜 종류에는 두가지가 있다.

PAGP 와 LACP

PAGP는 시스코에서 만든 프로토콜이고 LACP는 IEEE에서 정의한 표준프로토콜 이다.

 

PAGP 의 동작모드

desirable 동적 협이 모드

auto 대기 모드 --> 옆에 스위치에서 이더채널을 하자 라는 메세지가 들어오면 동작하는 모드, 양쪽다 대기 모드로 되어있으면 안된다.

양쪽 스위치중 하나는 동적협의모드로 되어 있어야 한다. 하지만 보통 양쪽다 동적 협의 모드로 셋팅 한다.

 

예제는 

명령어 SW1, SW2는 pagp로 SW2, SW3는 lacp로 해보겠다.

pagp SW1, SW2

SW1, SW2(config)# int port-channel 1 #채널 넘버는 1-6 (2960스위치 경우는 6까지, 3650 스위치는 48까지, 스위치 마다 다른듯)

SW1, SW2(config)# int range fa0/23 - 24 #두개 묶었으니 200메가

SW1, SW2(config-if-range)# channel-port protocol pagp

SW1, SW2(config-if-range)# channel-group 1 mode desirable

실제 환경에서는 각포트를 트렁크 모드로 미리 설정해논다느 가정하에 이렇게 할 수 있다.

int range fa0/23 - 24

 channel-group 1  mode desirable

 

lacp SW2, SW3

SW2, SW3(config)# int port-channel 2

SW2, SW3(config)# int range fa0/21 - 22

SW1, SW2(config-if-range)# channel-port protocol lacp

SW1, SW2(config-if-range)# channel-group 1 mode active

int range fa0/21 - 22

 channel-group 2  mode active

 

정보 확인

SW2# sh etherchannel summary

Flags: D - down P - in port-channel

I - stand-alone     s - suspended

H - Hot-standby (LACP only)

R - Layer3      S - Layer2

U - in use f - failed to allocate aggregator

u - unsuitable for bundling

w - waiting to be aggregated

d - default port

 

Number of channel-groups in use: 2

Number of aggregators: 2

 

Group                       Port-channel                    Protocol                             Ports

------+-------------+-----------+----------------------------------------------

 

1                 Po1(SU)#S - Layer2 U - in use        PAgP                Fa0/23(P) Fa0/24(P)P - in port-channel

2                 Po2(SU)#S - Layer2 U - in use       LACP                Fa0/21(P) Fa0/22(P)P - in port-channel

 Fa0/23(I) Fa0/24(I) 인 경우, 상대방 스위치가 준비가 되지 않았다

 Fa0/23(s) Fa0/24(s) 인 경우, 이더채널을 설정하기전에 트렁크 또는 엑세스 모드가 설정이 안되있다는 말

 

 

'ccna > cisoco cc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CDP(Cisco Discovery Protocol)  (0) 2021.01.19
HSRP  (0) 2021.01.17
Inter-vlan and SVI  (0) 2021.01.17
spanning tree  (0) 2021.01.17
VTP  (0) 2021.01.17
블로그 이미지

JustDoIt_Su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