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화
-
- LAN 네트워크 설계시 장애 발생가 발생할 경우, 다른 링크를 이용하여 패켓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권장한다.
-
- 대신, 이중화 링크를 구현하면 브리징 루프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
- 브리징 루프 : 브로드케스트 스톰, MAC 플랩핑, 유니케스트 중복 복제
-
- 브리징 루프 발생 원인 : 이중화 링크, 스위치 플러딩 동작
-
- 브리징 루프 방지 대책 : 스위치 특정 포트를 논리적으로 차단(Blocking)시킴
-
- Blocking 포트 : 프레임 송수신이 불가능한 포트를 의미한다.
① Blocking 포트는 평상시에 프레임 송수신이 차단된다.
② 그러나 사용중인 링크가 장애가 발생하면, Blocking 포트는 Forwarding 상태로 전환하여 프레임 송수신이 가능해진다.
③ 또한, 링크 장애가 복구되면, 다시 Blocking 상태로 전환된다.
-
①, ②, ③ 동작을 담당하는 프로토콜 : STP
-
STP는 스위치 이중화 연결시 자동으로 동작한다.
-
CISCO 장비에서 PVST가 디폴트로 동작한다.
블럭포트 선정 방법
1.루트 브리지 선정(BID 비교) → 2. BPDU 송신 → 3.수신 포트 코스트 누적값 기록 → 4.스위치의 포트중 코스트값이 젤 낮은 포트가 RP 포트 선정 → 5.루트스위치의 모든포트는 DP포트 → 6.각 링크당 한개의 DP포트 필수 → 7.RP 또는 DP 가 선정 되지 않은 링크 경우 스위치의 제일 낮은 코스트 값을 비교하여 DP선정 → 8.남은 포트는 블락포트 선정
'ccna > cisoco cc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HSRP (0) | 2021.01.17 |
---|---|
Inter-vlan and SVI (0) | 2021.01.17 |
VTP (0) | 2021.01.17 |
vlan (0) | 2021.01.05 |
IP 주소 특징 (0) | 2021.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