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31건

VTP

ccna/cisoco ccna 2021. 1. 17. 14:16

 @ VTP (Vlan Trunking Protocol)

Vlan을 관리하여 Vlan 설정 일관성을 유지

-VTP 도메인안의 모든 스위치로 vlan 정보를 담은 VTP메세지 전파

-2계층 메세지 프로토콜로 트렁크 링크를 통해 VTP 메세지 전파

@서버모드

-Vlan 생성, 이름변경, 삭제등 Vlan 설정변경 가능

-Vlan 설정을 변경할때 변경정보를 VTP 도메인 안의 모든 스위치에 전파

@클라이언트 모드

-Vlan 설정 변경(생성, 이름변경, 삭제) 할수 없음

-VTP 클라이언트가 가진 vlan 정보를 다른 vtp 스위치에 전파

@투명모드 (Transparent Mode)

-vlan 변경사항은 로컬스위치에만 적용, VTP 스위치로 전파되지 않음

-도메인 안에서 수신한 VTP 메세지 전달만 함

@VTP 메세지 전달

-vlan 설정이 변경되는 경우 설정 리비전 번호 1씩 증가

-VTP 메세지 설정 리비전 번호를 확인해 최신 메세지를 확인

Deagu_SW3(config)# vtp domain cisco

Deagu_SW3(config)# vtp mode server

Deagu_SW3#sh vtp status

VTP Version                     : 2 #VTP 버전

Configuration Revision          : 2 #설정 리비전 번호(변경시 1씩증가)

Maximum VLANs supported locally : 255

Number of existing VLANs        : 7

VTP Operating Mode              : Server #현재 VTP 모드

VTP Domain Name                 : cisco #도메인 네임 

VTP Pruning Mode                : Disabled

VTP V2 Mode                     : Disabled

VTP Traps Generation            : Disabled

MD5 digest                      : 0x14 0x7E 0x37 0xF1 0x88 0xD4 0xF4 0xB5

Configuration last modified by 0.0.0.0 at 3-1-93 00:04:46

Local updater ID is 0.0.0.0 (no valid interface found)

 

'ccna > cisoco cc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er-vlan and SVI  (0) 2021.01.17
spanning tree  (0) 2021.01.17
vlan  (0) 2021.01.05
IP 주소 특징  (0) 2021.01.03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0) 2021.01.01
블로그 이미지

JustDoIt_Sun

,

vlan

ccna/cisoco ccna 2021. 1. 5. 10:28

@ vlan 이란?

- 하나의 네트워크로 논리적인 네트워크로 분할

- 특정 vlan에서 전달된 트래픽은 해당 vlan에 속한 포트로만 전달

- 하나의 vlan = 하나의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 하나의 논리적인 네트워크

 

예를 들어, 하나의 도메인에 30대의 컴퓨터가 속해 있다 할때,

A피씨가 데이터를 전달하는데 상대방 피씨 맥주소를 몰라서 브로드캐스트 보내면 도메인내에 있는 

스위치가 네트워크안에 있는 모든 피씨에게 플러딩을 하게 된다. 만약 vlan으로 1~15번 피씨는 vlan 1 과

16~30 피씨는 vlan 2으로 나누었다하면, 플러딩은 해당 도메인 즉 vlan 1번 안에서만 이루어 지게 된다.

 

@vlan 범위

- vlan의 범위는 스위치마다 다름

- vlan 1은 기본 vlan으로 삭제 불가능

- vlan 2 ~ 1001 추가, 변경 삭제 가능

- vlan 1002 ~ 1005 토큰링과 FDDI용

@ vlan 장점

- 브로드캐스트 프레임 전달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네트워크 트래픽 감소, 웜이나 바이러스의 전파 범위를 제한

@ Access 모드

- 단일 vlan 트래릭을 전달

- host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설정

access mode

fa 0/1은 vlan 10만 통과

fa 0/2은 vlan 20만 통과

 

@Trunk 모드

- 다중 vlan 트래픽 전달

- 스위치나 라우터 사이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설정

- Trunking Protocol 이용해 vlan 트래픽을 식별

@Trunking Protocol

- IEEE 802.1q(표준)

- 트렁크 인터페이스에서 브이랜 트래픽을 식별

- 2계층 헤더에 tag 필드를 삽입

쉽게 말해서 vlan 10 트랙픽에 ' 이거는 10번 트랙이야' 라는 스티커를 부착 한다는 말.

 

@Native vlan

- Trunk 인터페이스에서 태그를 삽입하지 않는 vlan - 디폴트 값 vlan 1번 

- 하나의 Trunk 인터페이스 하나의 Native vlan이 지정 - 디폴트 값 vlan 1번을 다른 vlan으로 변경 가능

- Native vlan이 서로 다른 경우 루프의 원인 

'ccna > cisoco cc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anning tree  (0) 2021.01.17
VTP  (0) 2021.01.17
IP 주소 특징  (0) 2021.01.03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0) 2021.01.01
데이터 전송 주소 체계  (0) 2021.01.01
블로그 이미지

JustDoIt_Sun

,

간편화를 위해 건물 1동에서만 vlan을 설정하고 이중화 구현 , spanning tree 및 Inter-vlan routing 설정을 하도록 하겠다

각 기능의 설정 이유는 Cisco ccna 목록에서 자세히 설명 하겠다.

 

@부서 1

 

- vlan 10 할당 

- access mode vlan 10 설정

!

interface FastEthernet0/24

switchport access vlan 10

switchport mode access

!

- 부서1의 스위치1과 2번 사이 trunk mode 설정

!

interface FastEthernet0/23

switchport mode trunk

!

 

@부서 2

 

- vlan 20 할당

- access mode vlan 20 설정

!

interface FastEthernet0/24

switchport access vlan 20

switchport mode access

!

- 부서2의 스위치1과 2번 사이 trunk mode 설정

!

interface FastEthernet0/23

switchport mode trunk

 

@ 이중화 및 스패닝 트리 설정

- 스위치에서는 이중화시 스패닝 트리가 자동으로 실행되므로 블럭 포트만 변경해 보도록 하겠다

- 블럭 포트 설정은 같은 도메인에 있는 스위치 3개 이상일때 효과를 볼수 있으나 현 부서1의 스위치는 2개만 요구한다.

- 하지만 연습을 위해 설정을 헤보도록 하겠다

 

B1_SW2 의 Priority 값을 16384로 변경

'ccna > 회사 네트워크망 구성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체 구성  (0) 2021.01.17
회사 네트워크망 구성하기_1  (0) 2021.01.01
블로그 이미지

JustDoIt_Sun

,

1. IP 주소

- IP는 아이피르 관리하는 기관으로 부터 임대 받아서 사용해야 한다.

- 우리나라는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IP를 관리하고 있다.

- 특징: 32비트로 구성, 2^32개(4,294,967,296개) 약42억개, 십진수로 표기

 

2. 서브넷 마스크

- 서브넷 마스크는 IP고갈을 막기 위해 도입 되었다. 

- 공통비트: 1비트 -> 네트워크 아이디 -> 네트워크를 구분하기위한 번호

- 비공통비트: 0비트 -> 호스트 아이디 -> IP주소 개수 및 범위를 표기하기위한 번호

 

예를 들어 10.10.10.10 이란 IP 그리고 255.0.0.0 이란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할때

네트워크 아이디는 10.0.0.0 이고 호스트 아이피 갯수는 10.x.x.x 여기서 x에 해당되는 부분을 말한다. 호스트 갯수는 x에 해당되는 부분 

2^24개가 되겠다.

 

3. IP클래스 

1.  IP 주소 범위: 0.0.0.0 ~ 255.255.255.255 약 42억개

2.  네트워크와 호스트부분을 구분하고 효율적으로 IP를 관리하기위해서 만들었다.

3 .  A, B, C, D, E 클래스의 범위

  • A Class : 0 ~ 127 (0.0.0.0 ~ 127.255.255.255)
  • B Class : 128 ~ 191 (128.0.0.0 ~ 191.255.255.255)
  • C Class : 192 ~ 223 (192.0.0.0 ~ 223.255.255.255)
  • D Class : 224 ~ 239 (224.0.0.0 ~ 239.255.255.255)
  • E Class : 240 ~ 255 (240.0.0.0. ~ 255.255.255.255

4.  클래스는 유니캐스트주소, 멀티캐스트 주소, IANA 예약용 주소로 나눌수 있다.

@ 유니케스트 주소
 
 - 유니케스트 전송때 사용하는 주소이며, 장치에 설정하는 주소이다.

A Class(0~127) : 맨 앞에 비트가 '0'인 공통 비트 클래스

0.0.0.0    ~    127.255.255.255 기본 서브넷 마스크 : 255.0.0.0
0 0000000.     0 1111111. 네트워크 아이디당 IP 주소 개수 : 2^24개
                                                                                (16,777,216개)
B Class(128~191) : 맨 앞에 비트가 '10'인 공통 비트 클래스

128.0.0.0    ~    191.255.255.255 기본 서브넷 마스크 : 255.255.0.0
10 000000.       10 111111. 네트워크 아이디당 IP 주소 개수 : 2^16개
                                                                                     (65,536개)
C Class(192~223) : 맨 앞에 비트가 '110'인 공통 비트 클래스

192.0.0.0    ~    223.255.255.255 기본 서브넷 마스크 : 255.255.255.0
110 00000.       110 11111. 네트워크 아이디당 IP 주소 개수 : 2^8개
                                                                                              (256개)
----------------------------------------------------------------------------------
2^7 2^6 2^5 2^4 2^3 2^2 2^1 2^0
128 64   32   16    8     4     2     1
----------------------------------------------------------------------------------

 

@ 멀티케스트 주소

 - 멀티케스트 전송때 사용하는 주소이며, 장치에 설정이 안되는 주소이다.
 - 서버가 패켓을 멀티케스트로 전송할 경우, 목적지 IP 주소로 설정된다.

D Class(224~239) : 맨 앞에 비트가 '1110'인 공통 비트 클래스

224.0.0.0    ~   239.255.255.255 서브넷 마스크 개념 X
1110 0000       1110 1111.

 

@ 3. IANA 예비용 예약 주소

 - 예비용으로 예약되었기 때문에 사용 및 설정이 안된다.

E Class(239~255)

240.0.0.0    ~    255.255.255.255

 

5. 네트워크 이름 & 서브넷브로캐스트 주소 

1) 네트워크 이름: 

- IP 주소가 할당된 네트워크를 대표하는 IP주소

-  할당된 아이피 주소의 첫번째 주소가 네트워크 아이디 주소

2) 서브넷 브로드캐스트 주소:

- 해당 네트워크에서 브로드케스트를 실행할때 사용되는 주소.

- 호스트 아이피의 마지막 주소가 브로드캐스트 주소이다.

 

 

                               IP                                               서브넷마스크

                             192.168.1.10                                      255.2555.255.0                 이라 할때,

네트워크 이름        192.168.10.0           브로드캐스트주소 192.168.1.255

 

 

6. 서브넷마스크 Prefix 설정 가능한 IP 주소 개수

 

7. 공인 IP 주소 & 사설 IP 주소

 1) 공인 IP 주소 (Public IP 주소)

 - ISP 업체에서 할당한 인터넷이 가능한 주소
 - 공인 IP 네트워크 정보는 ISP 업체 라우터 장비에 등록 O

 2) 사설 IP 주소 (Private IP 주소)

 - ISP 업체 임대와 관계 없이 내부용으로 사용하는 주소
 - 사설 IP 네트워크 정보는 ISP 업체 라우터 장비에 등록 X

A Class 10.0.0.0 ~ 10.255.255.255
B Class 172.16.0.0 ~ 172.31.255.255
C Class 192.168.0.0 ~ 192.168.255.255

 

@ IP 주소 사용 주의 사항

 1. 중복 X
 2. 미할당 IP 주소는 다른 네트워크에 할당하면 안된다. (이유 : 네트워크 이름 중복)

'ccna > cisoco cc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VTP  (0) 2021.01.17
vlan  (0) 2021.01.05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0) 2021.01.01
데이터 전송 주소 체계  (0) 2021.01.01
네트워크와 데이터전송 관계  (0) 2021.01.01
블로그 이미지

JustDoIt_Sun

,

학교 과제 따라해 보기_1 탄 

숫자 맞추기

 

파이썬으로 뭘 만들어 볼까 유튜브 검색중에 학교과제에서 했었던 영상들이 꽤 많다는 것을 봤다.

학교 다니때는 왜 유튜브를 찾아보지 않았을까라는 후회가 될정도로 많았다....

어찌됐든 기억을 더듬이며 하나씩 해보면 재미있지 않을가 해서 해본다.

첫번째는 Guess the number로 정했다.

lecture 끝나고 workshop 시간에 했었던 걸로 기억한다. 그때는 이거 하나 만들기도 벅차서 중국애랑 일본애랑 셋이서 머릴 맞대고 만들었던 기억이 ㅋㅋㅋㅋ 

이게 효율적인 코드인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5분도 안걸림;;

import random #랜덤숫자 생성을 위해 모듈 불러옴
num = random.randint(0, 50)#0~50 사이의 숫자하나를 생성 후 변수 저장
print(num) # 테스트를 해보기위해 생성된 변수를 프린트 해봤다
input_num = int(input("숫자를 입력 해주세요:\n"))# 입력값을 받고 input값이 str이기때문에 int로 변경
for i in range(5): # 반복문 5번만 하겠다
    if input_num < num: #나머지는 if 문
        print("입력하신 숫자보다는 큽니다.")
        input_num = int(input("숫자를 입력 해주세요:\n"))
    elif input_num > num:
        print("입력하신 숫자보다는 작습니다.")
        input_num = int(input("숫자를 입력 해주세요:\n"))
    elif input_num == num:
        print("성공하셨습니다. 숫자는 %d입니다." % num)
    elif i == 5:
        print("입력횟수를 초과 하셨습니다.")


13
숫자를 입력 해주세요:
1
입력하신 숫자보다는 큽니다.
숫자를 입력 해주세요:
2
입력하신 숫자보다는 큽니다.
숫자를 입력 해주세요:
66
입력하신 숫자보다는 작습니다.
숫자를 입력 해주세요:
14
입력하신 숫자보다는 작습니다.
숫자를 입력 해주세요:
13
성공하셨습니다. 숫자는 13입니다.

 

블로그 이미지

JustDoIt_Sun

,

@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1.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Layer 4 계층 프로토콜
 - 연결 지향성 프로토콜 : 상대방과 통신 수립 연결을 실시하고 난 이후, 데이터 요청 및 응답 실시
 - '3-Way 핸드 쉐이킹' 동작 실시

A(클라이언트) B(서버)

Syn ->
<- Syn, Ack
Ack -> 
~ 통신 수립 완료 ~
   (ESTABLISHED)

데이터/서비스 요청 ->
<- 데이터/서비스 응답

[참고] TCP Control Flag (6bit)

 - urg (1.....) : 긴급한 데이터 표기
 - ack (.1....) : 확인 응답/승인
 - psh (..1...) : 수신처리 이후, 상위 프로세스로 처리
 - rst (...1..) : 강제 종료 
 - syn (....1.) : 통신 개시
 - fin (.....1) : 정상적인 종료


 - 데이터 스트림 서비스 : 데이터를 세그먼트 단위로 생성하여 전송 및 수신 처리 실시
       (순서 번호 및 확인 번호 사용)

 - 흐름 제어 기능 : stop & wait 기법 -> 슬라이딩 윈도우 기법

stop & wait : 송신한 세그먼트에 대한 Ack를 수신해야지만, 그 다음 세그먼트 전송
     (다음 세그먼트 송신 처리 지연 발생 및 Ack 양 많음)

슬라이딩 윈도우 : 수신측 세그먼트 처리양에 맞게 송신측에서 세그먼트 다수 전송
          (세그먼트 송신 지연 발생 및 Ack 양 최소함)
           

 - 혼잡 제어 기능 : 혼잡 발생시 전송률을 최소화하는 기능

 - 오류 검사 : 수신한 세그먼트 손상 여부 판단
     (손상된 세그먼트는 드랍 처리 실시)

 - 재전송 기능 : 송신한 세그먼트에 대한 Ack를 수신하지 못하면, 해당 세그먼트를 재전송 실시

 - Window Size : 송수신할 수 있는 세그먼트양 
 
 - HTTP(80), HTTPs(443), Telnet(23), SSH(22), FTP(21), FTP-Data(20), SMTP(25), POP3(110)


2. UDP(User Datagram Protocol)

 - Layer 4 계층 프로토콜
 - 비연결 지향성 프로토콜

'3-Way 핸드 쉐이킹' 동작 실시 X
데이터 스트림 서비스 X
혼잡 제어 기능 X
재전송 기능 X
Window Size X

 - 오류 검사
 - DNS(53), TFTP(69), DHCP Server(67), DHCP Client(68), SNMP(161), NTP(123)



3. IP(Internet Protocol)

 - Layer 3 계층 프로토콜
 - 비연결 지향성 프로토콜
 - 로컬 환경에서 리모트 환경으로 데이터 전송 담당
 - TTL(Time to Live) : 8bit(0~255), 거리 측정 및 패켓 루프 방지 기능

[참고] 운영 체제 TTL 기본값

 - Cisco 255
 - Window 128
 - Linux 64
  이 값이 1씩 줄어들때 마다 하나의 라우터를 거친다

윈도우에서 ttl 값이 126 이면 두개의 라우터를 거쳤다는 뜻이다.

한국에서 유럽까지 연결해도 20개 정도만 거친다고 한다.

궁금하면 유럽에 서버를 두고 있는 웹사이트로 핑 해보면 된다.


4.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 IP 프로토콜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여부 가능 테스트 프로토콜
 - 'ping', 'tracert' 명령어


A B
192.168.14.14 -------> 192.168.14.11

ping 192.168.14.11

ICMP Echo-Request -> <- ICMP Echo-Reply
SA 192.168.14.14                  SA 192.168.14.11
DA 192.168.14.11                  DA 192.168.14.14


5.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 주소 변환 프로토콜
 - 목적지 IP 주소에 대한 MAC 주소를 설정하는 프로토콜
 - 만약, 목적지 IP 주소에 대한 MAC 주소가 없을 경우, 다음과 같이 ARP 요청 및 응답 실시

A                                                                                  B
192.168.14.11                                                                192.168.14.14
90-9F-33-EB-34-98                                                  90-9f-33-eb-36-ff

ARP Reqeust(192.168.14.14, MAC ?) ->  맥주소 아시는 분~
SA 90-9F-33-EB-34-98
DA FF-FF-FF-FF-FF-FF
                                        그거 나야! 내 맥주소 이거야!     <- ARP Response(192.168.14.14
                                                                                               MAC 90-9f-33-eb-36-ff)
                                                                                                  SA 90-9f-33-eb-36-ff
                                                                                               DA 90-9F-33-EB-34-98

 

수신된 맥주소는 내 컴푸터의 ARP Table에 저장되고 다음통신에 사용된다.

#ARP Table#  

192.168.14.14 90-9f-33-eb-36-ff

A -> B

SA 192.168.14.11
DA 192.168.14.14
-------------------------- IP 에서 사용 L3 에서 사용
SA 90-9F-33-EB-34-98
DA 90-9f-33-eb-36-ff
-------------------------- ETH 에서 사용 스위치 물린 엔드 끼리 통신 할때 사용

C:\Users\Administrator>arp -d #arp 테이블 지우기

C:\Users\Administrator>arp -a #arp 테이블 확인하기
ARP 항목을 찾을 수 없습니다.

C:\Users\Administrator>arp -a

인터페이스: 192.168.14.11 --- 0xd
  인터넷 주소           물리적 주소           유형
  192.168.14.1          50-6a-03-af-29-3c     동적
  192.168.14.255        ff-ff-ff-ff-ff-ff     정적
  224.0.0.252           01-00-5e-00-00-fc     정적

'ccna > cisoco cc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VTP  (0) 2021.01.17
vlan  (0) 2021.01.05
IP 주소 특징  (0) 2021.01.03
데이터 전송 주소 체계  (0) 2021.01.01
네트워크와 데이터전송 관계  (0) 2021.01.01
블로그 이미지

JustDoIt_Sun

,

1. 포트 번호

<위키백과>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에서 포트(port)는 운영 체제 통신의 종단점이다. 이 용어는 하드웨어 장치에도 사용되지만, 소프트웨어에서는 네트워크 서비스나 특정 프로세스를 식별하는 논리 단위이다. 주로 포트를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전송 계층 프로토콜이라 하며, 예를 들어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와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가 있다. 각 포트는 번호로 구별되며 이 번호를 포트 번호라고 한다. 포트 번호는 IP 주소와 함께 쓰여 해당하는 프로토콜에 의해 사용된다.

 

IP 주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IP 주소(영어: Internet Protocol address, IP address, 표준어: 인터넷규약주소)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장치들이 서로를 인식하고 통신을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특수한

ko.wikipedia.org

 

간단히 설명하자면 A컴퓨와 B컴퓨터가 카카오톡을 실행 하여 채팅을 하고 있다 가정하자.

A가 '나 A야!' 라는 데이터르 B에게 보낸다고 할때, 

A----------------------->B

             '나 A야!'

하지만 B컴퓨터에는 카카오톡뿐만 아니라 네이버도 켜있고 롤도 하고 있다면, 

A----------------------->B 카카오톡, 네이버, 롤

             '나 A야!'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이 여러개인데 나는 어디로 가야되지??'

이때 어디로 가야되는지를 알려주는게 포트번호 이다.

잘 알려진 포트번호는 다음과 같다.

 

 <TCP>                                             < UDP>

http 80                              domain/dns 53
https 443                           bootps 67 (DHCP Server)
telnet 23                            bootpc 68 (DHCP Client)
ssh 22                                tftp 69
ftp 21                                 snmp 161
ftp-data 20                       ntp 123
smtp 25
pop3 110

 

2. IP 주소

 

Internet Protocol 의 약자로 간단히 하면 내 컴퓨터 주소이다.

우리가 편지를 보내면 우체부가 우리집 주소를 보고 찾아오듯, 다른 컴퓨터에서 나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면 이 IP주소를 보고 찾아 온다.

32bit로 이루어져 있고, 8비트를 1옥텟으로 나누어, 4옥텟으로 이루어져 있다.

표현방법으로는 0 ~ 255까지 숫자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128.96.32.2

128

96

32

2

1000 0000

0110 0000

0010 0000

0000 0011

1111 1111

1111 1111

0000 0000

0000 0000

 

3. MAC 주소

맥주소는 피지컬 어드레스라고도 불리우는데 왜냐하면 IP주소는 상황에 따라 내 컴퓨터의 주소가 변할수도 있지만 이 맥주소는 절대 변하지 

않는 주소이다.

랜카드에 적혀 있으며 스위치로 구성된 로컬 네트워크에서는 이 맥주소를 이용해 유니캐스트로 통신을 한다.

0-e0-4c-14-62-ba ---> 실제 맥주소

0-e0-4c                 ---> 앞에 세자리는 랜카드 제조사를 뜻한다

14-62-ba                ---> 뒤에 세자리는 내 랜카드의 주소를 뜻한다.

이게 무슨뜻이냐면 이 맥주소는 항상 고유 해야 하기때문에 랜카드를 제조하는 회사는 이를 관리하는 IEEE로 부터 앞의 세자리를 

할당 받아야 하고 뒤에 세자리는 자신의 회사가 임의로 사용 할수 있다.

할당 받은 맥주소 : aa.aa.aa.xx.xx.xx 

a 할당 받은 주소

x 자신이 변경해서 사용할수 있는 주소

'ccna > cisoco cc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VTP  (0) 2021.01.17
vlan  (0) 2021.01.05
IP 주소 특징  (0) 2021.01.03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0) 2021.01.01
네트워크와 데이터전송 관계  (0) 2021.01.01
블로그 이미지

JustDoIt_Sun

,

1. 네트워크란?

스타트업이란 드라마에서 강한나가 네트워킹 이라는 파티를 여는데 

이는 강한나처럼 회사를 운영하거나 그에 준하는 지위에 있는 사람들이 인맥을 넓힌다는 목적의 파티이다.

영화 범죄와의 전쟁에서 최민식이 전화번호 수첩을 들고 이" 수첩만 있으면 다 할수 있어!" 라는 장면도 생각난다.

네트워킹 파티에 나가 인맥을 쌓는 이유는 정보를 교류하기위해

전화번호 수첩이 중요한 이유는 서로 연락해서 정보를 교류하기위해

 

네트워크 : 정보공유, 교환을 목적으로 컴퓨터와 컴퓨터가 모여서 구성된 망

 

2. 프로토콜

간단히 말하자면 약속 이다.

예를 들면, 중국인과 미국인이 대화를 하려면 당연히 대화가 안통 한다. 언어가 다르니까!

대화가 될려면 ? 

대화가 통하게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언어가 필요! 예를들면, 둘다 일본어를 할줄 안다면

"우리끼리 대화 할때는 일본어로 대화하자!" <- 이게 약속 

서로 대화를 하기위해 -> 서로 정보를 공유하고 교환 하기 위해

 

프로토콜 : 네트워크 환경내에서 데이터를 전송할때 전송방법을 정의 하는 규칙 또는 제도를 말한다.

예) TCP, UDP, IP 등등

 

3. 네트워크 유형

 

@ LAN(Local Area Network)

 

- 네크워크 구성 단위중 가장 작은 단위

- 내부 네트워크라고도 불린다 

- 장비: 스위치, PC 랜카드, UTP 케이블 , 무선 AP

 

@WAN(Wide Area Network)

 

- 랜과 랜을 연결하는 외부 네트워크를 말한다.

- 예를 들면, 대전이라는 랜 네트워크와 부산이라는 랜 네트워크 연결 할려면 WAN이라는 외부 네트워크로 연결 한다.

- 장비: 라우터 

- 프로토콜: HDLC, PPP, Frame-Relay

- KT, SKT, LG 같은 ISP업체 

 

@ Internet

전세계적으로 연결된 네트워크 망을 말한다

보통 world wide web인 www.http 를 떠올리는데 이는 나중에 설명 하도록 하겠다

 

@ Intranet

기업 내부에서 인터넷과 같이 사용하는 망을 말한다. 외부 즉 인터넷 사용은 불가하고 사내에서만 가능한 망을 뜻한다.

 

4. 데이터 전송 방식

 

@ 유니캐스트

1:1 전송 방식

유니캐스트는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프레임에 자신의 MAC 주소와 목적지의 MAC 주소를 첨부하여 전송하는 방식을 말한다. 어떤 시스템이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면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시스템들은 그 MAC 주소를 받아서 자신의 MAC 주소와 비교 후에 자신의 MAC 주소와 같지 않다면 프레임을 버리고 같다면 프레임을 받아서 처리하게 된다. 유니캐스트 방식은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식으로 한 개의 목적지 MAC 주소를 사용하고 CPU 성능에 문제를 주지 않는 방식이다.

 

@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브로드캐스트 방식은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시스템에게 프레임을 보내는 방식을 말한다. 브로드캐스트 방식의 경우 브로드캐스트용 주소가 미리 정해져있고, 수신 받는 시스템은 이 주소가 오면 패킷을 자신의 CPU 로 전송하고 CPU 가 패킷을 처리하는 방식이다. 모든 시스템에게 패킷이 전송되므로 트래픽이 증가하고 CPU 도 패킷을 처리해야 하므로 성능에 저하가 생긴다. 브로드캐스트 방식은 통신하고자 하는 시스템의 MAC 주소를 알지 못하는 경우,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시스템에게 알리는 경우, 라우터끼리 정보를 교환하거나 새로운 라우터를 찾는 경우 등에 이용이 된다.


@ 멀티캐스트(Multicast)
멀티캐스트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시스템 중 일부에게만 정보를 전송하는 것으로 특정 그룹에 속해 있는 시스템에게만 한 번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방법을 말한다. 멀티캐스트는 라우터가 멀티캐스트를 지원해야만 사용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룹 통신을 위하여 다중 수신자들에게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할 경우 유니캐스트 전송 방식을 이용한다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패킷을 다수의 수신자에게 각각 여러 번 전송해야 하며, 이러한 동일한 패킷의 중복 전송으로 인해 네트워크 효율이 저하된다. 또한 수신자 수가 증가할 경우 이러한 문제점은 더 커지게 된다. 반면 멀티캐스트 전송이 지원되면 송신자는 여러 수신자에게 한 번에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하여 데이터의 중복 전송으로 인한 네트워크 자원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멀티캐스트 전송이 일반적인 유니캐스트 인터넷 응용 분야와 다른 점은 우선 그 전송 패킷에 있다. 일반적으로 TCP/IP 상의 인터넷 응용 프로그램은 데이터의 송신자가 이를 수신할 수신자의 인터넷 주소를 전송 패킷의 헤더에 표시해 패킷을 전송한다. 그러나 멀티캐스트 전송을 위해서는 헤더에 수신자의 주소 대신 수신자들이 참여하고 있는 그룹 주소를 표시하여 패킷을 전송한다.

▶ 멀티캐스트 특징
- 멀티캐스트 그룹 단위로 묶어 그 그룹의 Host 들은 동시에 데이터를 받을 수 있다.
- UDP 를 사용하여 전송함으로 신뢰성을 보장받지는 못한다.
- Client 에서 멀티캐스트를 사용하는 Application 을 시작하면 멀티캐스트 IP 주소와 멀티캐스트 MAC 주소를 라우터에 등록함으로 멀티캐스트 그룹에 등록된다.
- 하나의 Client 에서 여러 멀티캐스트 주소를 수용할 수 있다. 즉 여러 가지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동시에 받을 수 있다.
- Server가 멀티캐스트 주소로 데이터를 전송 중에 있을 때 중간에 Client 가 끼어들어도 처음부터 데이터를 받을 수 없고 중간부터 데이터를 받게 된다.

'ccna > cisoco cc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VTP  (0) 2021.01.17
vlan  (0) 2021.01.05
IP 주소 특징  (0) 2021.01.03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0) 2021.01.01
데이터 전송 주소 체계  (0) 2021.01.01
블로그 이미지

JustDoIt_Sun

,